메뉴 건너뛰기

운동정보

2018.01.12 12:41

젊게 살고 싶은가?

조회 수 51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올해 어느새 마흔이 되고, 둘째가 초등학교에 입학해요. 그런데 20대 때 에너지가 그대로라는 칭찬을 자주 들어요.” 미국 패션 브랜드 나우(NAU) 남윤주 마케팅팀장이 쑥스럽게 말했다. “루이뷔통 계열사 뵈브 클리코의 전 시이오(CEO)인 미레유 길리아노의 <프랑스 여자는 살찌지 않는다>와 <프랑스 여자는 늙지 않는다>를 읽은 것이 큰 도움이 된 것 같다”고 했다. 그 책들을 통해 진정한 매력은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에 있고, ‘우아하게 나이 드는 것’은 세월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도 나다움을 끊임없이 발견해나가는 과정이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하지만 이런 과정도 건강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지속하기가 쉽지 않다. 건강이야말로 젊음을 유지하는 데 필요조건이다. 

stock-vector-aging-concept-of-female-and-male-characters-the-cycle-of-life-from-childhood-to-old-age-436276999.jpg

■ 왜 늙는가?…노화의 이유

나이를 먹을수록 늙는 건 자연스런 현상이다. 의학계에서는 성장이 멈춘 20대부터 노화가 시작되는 것으로 본다. 노화의 원인은 현재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대표적으로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첫째, 나이 들수록 우리 몸에 해로운 활성산소가 불필요하게 많아지고, 이 활성산소가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를 공격해 그 기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둘째, 우리 몸속의 호르몬 분비가 감소한 데서 기인한다. 연세대 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안철우 교수는 “성장호르몬이 20대 이후부터 10년에 14.4%씩 감소해 60대가 되면 50%가 되고, 70대가 되면 20%로 떨어진다”며 “성장호르몬 외에 남성·여성 호르몬 분비도 줄기 때문에 나이 들수록 호르몬, 특히 인슐린과 멜라토닌을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한의학에서는 노화의 원인에 대해 부모한테 받은 생명의 근원적 기운인 원기(元氣)가 고갈되기 때문이라고 본다. 인산한의원 한진우 원장은 “사람의 수명이 서로 다른 것은 부모로부터 받은 기운이 선천적으로 다르고, 후천적으로 섭생이 다르기 때문”이라며 “가족력이 수명을 결정짓는 하나의 요인이지만, 부적절한 음식 섭취, 조급한 성격, 과도한 음주, 무절제한 생활이 수명을 단축시킨다”고 설명한다.
​​​​​​​stock-photo-beauty-portrait-of-woman-breaking-her-old-face-photo-544399165.jpg

■ 젊게 살고 싶다?…그 비결

불행하게도 노화를 막을 수는 없다. 하지만 노화를 늦춰 젊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건 가능하다. 그러려면 ‘관리’가 필수다. 엑스(X)세대를 거쳐 이제는 40대가 된 ‘영포티(Young 40) 세대’가 일상에서 피부, 미용, 패션 등에 관심을 보이며 자신을 꾸미고 ‘젊음’의 가치를 추구하는 것은 이런 맥락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젊음’이라고 하면 보톡스로 주름살을 없애고 성형수술을 하는 등의 인위적인 방법이 절대적인 것이라고 이해하기 쉬우나, 진정한 젊음은 단지 외적인 아름다움에서만 비롯되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젊음은 ‘동안 외모’가 아니라 ‘건강하고 아름답게 사는 법’에 있다.

젊음은 어디에서 올까. ‘나를 사랑하는 마음’이 우선이어야 한다. 외부의 나쁜 기운으로부터 나를 보호하고 스스로 면역력을 높여야 한다. 한진우 원장은 “욕심을 줄여 편안한 마음을 갖도록 하고, 과도한 욕심과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안철우 교수는 호르몬이 건강과 젊음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욱하는 성질과 비만도 호르몬 때문이다. 행복 호르몬으로 불리는 세로토닌과 엔도르핀이 원활하게 분비되게 하는 것이 젊음의 지름길이라는 뜻이다. 작은 일에도 소리 내어 웃고 즐거워하는 습관, 늘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매사 여유로운 마음을 가져야 한다. 또 인슐린과 멜라토닌의 관리도 중요하다. “육류와 우유 등 양질의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며 “중·노년층도 근력 운동을 빼놓지 말고 해야 한다”고 말했다. 멜라토닌의 원활한 분비를 위해 하루 30분씩 햇볕을 쬐며 걷고, 밤 11시 이후는 취침시간으로 정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젊음에 도움을 준다.


■ 젊음을 돕는 음식·운동


인제대의대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강재헌 교수는 젊음의 비결로 ‘앨러미다 7’이라는 건강수칙을 강조한다. 여기에는 비흡연, 적당한 음주 혹은 금주, 주 3회 이상 규칙적인 운동, 적정 체중 유지, 간식 안 먹기, 아침 식사, 하루 6~9시간 수면이 포함돼 있는데, 이 중 6가지 이상을 지키면 기대수명이 평균보다 11년 연장된다는 것이다. 실제 1965년 미국의 의사 레스터 브레슬로가 캘리포니아주 앨러미다카운티에서 주민 6928명의 생활습관을 20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45살 남자 기준으로 이런 결과가 도출됐다. 즉, 젊음의 비결은 거창한 약이나 시술이 아니라 평범한 생활습관 개선에 있다는 방증인 셈이다. 강 교수는 “소금과 설탕, 밀가루 음식과 인스턴트, 패스트푸드, 청량음료를 줄이고 생선, 두부, 육류 등 양질의 단백질을 섭취해야 한다”며 “건강관리와 생활습관에 따라 실제 나이보다 훨씬 젊어 보일 수도, 또 건강하게 살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젊음은 암 등 각종 질환에 걸리지 않은 건강한 상태일 때라야 의미가 있다. 과일과 채소를 골고루 먹어야 하는 이유다. 국립암센터 가정의학과 명승권 교수는 “과일과 채소를 골고루 먹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암이나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이 10~30%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노화와 질병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를 막을 수 있는 항산화물질이 풍부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실제 서양에서는 하루 5가지 과일과 채소를 5단위(맥주잔 2컵 반), 400g 이상 먹을 것을 권고하는 ‘5 원 데이(a day)’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시중에는 질병 예방과 노화 방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건강기능식품이 대량 유통되고 있다. 건강과 젊음에 도움이 될까. 명 교수는 “홍삼, 비타민, 오메가3 지방산,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 칼슘제, 프로폴리스, 달맞이유, 글루코사민, 루테인 등의 건강기능식품의 효능과 안정성이 임상적으로 충분히 입증되지 않아 권장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028&aid=0002393410


  1. notice

    문관장 유투브 채널 바로가기

    유투브 채널 주소 https://www.youtube.com/channel/UCGuN1dYX5SGNCeT3RxhLYlw
    Date2021.10.07 Byflexmun Views3963
    read more
  2. 나이별 어깨관리법

    연령대별 잦은 어깨통증…"스트레칭·근력 강화 필수" (서울=뉴스1) 김태환 기자 = 어깨 관절 주변의 근육이나 힘줄의 균형이 망가지면 통증이 찾아온다. 연령이 높으면 오십견과 같은 관절 염증이 생기기 쉽고, 젊은 층은 근육이나 힘줄 손상의 우려가 높다.일...
    Date2018.02.06 Byflexmun Views550
    Read More
  3. 근력운동이 유산소보다 암예방에 효과적이다.

    근력운동이 유산소운동보다 암에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나왔다 이런 논란이 있다. 사람 건강에 달리기 같은 유산소운동(또는 심폐지구력운동)이 더 이로울까 아니면 근력운동이 더 이로울까? 이번에 발표된 시드니대학교의 연구가 결정적인 답을 제시할...
    Date2018.02.02 Byflexmun Views598
    Read More
  4. 통증에 시작 근막에 주목해라

    근육을 감싸고 있는 막이라는 뜻의 ‘근막’. 근막은 근육뿐만 아니라 뼈, 내장, 신경 등 신체의 다양한 조직을 감싸면서 인체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2의 골격’이라고도 불린다. 근막은 콜라겐 섬유와 엘라스틴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몸의...
    Date2018.01.31 Byflexmun Views476
    Read More
  5. 당뇨를 예방 할려면 20분마다 움직이어야 한다

    업무 중에 의자에서 자주 일어나는 것은 주위 사람에게 눈치가 보이는 일이다. 그러나 건강을 생각한다면 요령껏 20분마다 일어나 몸을 움직이는 게 좋을 것 같다.​​​​​​​ 호주 멜버른의 베이커 심장 및 당뇨병 연구소 연구팀은 규칙적으로 몸을 움직이고 걷는...
    Date2018.01.25 Byflexmun Views429
    Read More
  6. 제2의 심장 발 건강을 지키자

    사람은 일생동안 지구 4바퀴 반을 돈다고 할 정도로 발을 많이 사용한다. 발은 걸을 때 심장에서 보낸 혈액을 받아 다시 온몸으로 보내는 펌프 작용을 한다. 이 때문에 '제2의 심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발 관리에 소...
    Date2018.01.22 Byflexmun Views494
    Read More
  7. 운동 중년에 시작해도 심장을 살린다.

    중년에 시작하는 운동도 의미가 있다. 비활동적인 사람도 꾸준히 유산소 운동을 하면 심장 건강이 급격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자나 소파에서 보내는 시간이 긴 중년이 운동을 하면 장시간 앉아있을 때 일어나는 부정적인 효과들이 상쇄된다는 연구결...
    Date2018.01.16 Byflexmun Views484
    Read More
  8. 젊게 살고 싶은가?

    “올해 어느새 마흔이 되고, 둘째가 초등학교에 입학해요. 그런데 20대 때 에너지가 그대로라는 칭찬을 자주 들어요.” 미국 패션 브랜드 나우(NAU) 남윤주 마케팅팀장이 쑥스럽게 말했다. “루이뷔통 계열사 뵈브 클리코의 전 시이오(CEO)인 미레유 길리아노의 <...
    Date2018.01.12 Byflexmun Views513
    Read More
  9. 속이쓰리면 수면자세를 바꿔라

    - 건강 상태 따라 수면 자세 각기 달라사람은 하루 7~8시간 잠을 잔다. 일생의 3분의 1 가까운 시간을 잠으로 보내는 만큼 이 시간이 편안해야 삶의 질이 높아진다. 각자의 컨디션에 맞는 수면 자세를 취해야 하는 이유다. 코를 고는 사람, 속이 쓰린 사람, 허...
    Date2018.01.10 Byflexmun Views520
    Read More
  10. 척추3대질환 디스크(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척추전방전위증

    3대 퇴행성 척추질환으로 볼리는 질환은 허리디스크(요추간판탈출증), 척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등이다. 허리디스크는 뼈와 뼈 사이에 있는 연골이 찢어지거나 파열되면서 신경을 누르고, 척추관협착증과 척추전방전위증은 뼈나 인대처럼 단단한 구조물...
    Date2018.01.09 Byflexmun Views24090
    Read More
  11. 건강한 사람들에 습관

    새해 소망을 말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건강이다. 사실 돈도 명예도 건강하지 못하면 아무런 소용이 없는 것이 된다.이 때문에 새해에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겠다는 목표를 가장 먼저 정한다. '데일리메일'이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건강한 삶을 위...
    Date2018.01.03 Byflexmun Views39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101 Next
/ 10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