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2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건강에 대한 과도한 집착으로 건강염려증이나 결벽증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 세균에 대한 병적인 공포증이다. 세균은 현미경으로 봐야 보일 정도로 작지만 위협적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만큼 오해도 많다. 

◆ 공중화장실 변기는 앉으면 안 되나요?= 집밖 화장실 사용을 꺼리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미생물학과 찰스 제르바 교수에 의하면 화장실 변기 시트는 화장실 내에서 가장 깨끗한 물건 중 하나다. 


stock-photo-herpes-virus-or-germs-microorganism-cells-under-microscope-fast-multiplication-of-bacteria-549662989.jpg



화장실 손잡이, 수도꼭지 등이 오히려 걱정해야 할 물건이다. 이런 물건들을 만진 뒤 손을 씻지 않고 코나 입을 만진다면 세균에 감염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화장실을 사용한 뒤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휴지로 손을 닦은 다음 휴지를 이용해 손잡이를 열고 나오면 감염 위험률이 떨어진다. 


◆ 세균을 없애려면 더운물로 씻어야 하나요?
= 요즘처럼 추울 땐 따뜻한 물로 손을 씻게 된다. 그런데 한여름에도 세균 제거를 위해 따뜻한 물을 고수하는 사람들이 있다. 찬물은 세균을 제거할 수 없을까?

그렇지 않다. 찬물도 더운물처럼 세균을 씻어내는 효과가 있다. 식품과학자 도날드 샤프너 박사에 의하면 세균을 박멸시키는 수준의 물 온도는 사람의 손이 데일 정도로 뜨겁기 때문에 어차피 손을 씻을 수 없는 온도다. 

물 온도보다 중요한 것은 비누 사용 여부다. 물만 이용해 씻을 때보다 비누 거품을 내 손을 충분히 비빈 다음 헹궈낼 때 훨씬 많은 양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 추운 날씨가 감기의 원인인가요?= 영하 기온과 찬바람이 감기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 날이 추우면 면역력이 떨어지고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세균에 감염되기 쉬워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추위 자체가 감기를 유발하는 원인은 아니다. 

추위를 피해 실내에 머물 때 감기에 걸린 사람들과 한 공간에 있다면 전염될 확률이 높아진다. 감기나 독감에 걸린 사람은 재택근무를 하는 등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독감 주사는 예방을 위해 맞는 편이 낫고, 손은 수시로 씻어야 한다. 
​​​​​​​stock-vector-set-of-cartoon-monsters-funny-smiling-germs-character-with-big-eyes-microorganism-bacterias-with-521687005.jpg
◆ 항생제는 감기 세균을 죽이나요?= 대부분의 감기는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바이러스는 항생물질에 반응하지 않는다. 항생제를 복용한다고 해서 감기를 일으키는 세균을 제거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항생제는 남용하지 말아야할 물질이다. 내성이 생기기 때문에 오히려 다음번 감염 위험률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병원에서 감기약을 처방받을 땐 가급적 항생제를 포함시키지 않는 편이 좋다. 

◆ 집밥보다 식당밥이 식중독을 잘 일으키나요?= 간혹 비위생적인 식당이 문제를 일으키지만, 대부분의 식당은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한다. 살모넬라균으로 인한 식중독의 80%는 가정에서 일어난다는 보고가 있다. 오히려 집에서 부주의하게 식품을 관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칼질을 할 때 고기, 채소 등 식재료에 따라 각기 다른 칼을 이용해야 한다. 요리에 대한 감이 없다면 온도계를 이용해 음식을 삶거나 튀길 때 충분한 열을 가하고 있는지 확인하자. 덜 익은 음식으로 탈이 날 가능성이 줄어든다. 식재료와 주방도구를 청결하게 관리하는 만큼 요리 전후로 손을 깨끗하게 씻는 것도 잊어선 안 된다. 


원문보기

http://m.kormedi.com/news/NewsView.aspx?pArtID=1225804#backPopup


  1. 부탁 할일이 있다면 오른쪽 귀에 대고 말해라

    긴히 부탁할 일이 있으면 상대에게 조용히 다가가 귓속말을 하는 게 보통이다. 그런데 이렇게 귀엣말을 나눌 때도 오른쪽 귀에 대고 말해야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이는 오른쪽 귀가 들은 내용을 뇌가 더 잘 처리하기 때문에 상대방에...
    Date2018.02.05 Byflexmun Views436
    Read More
  2. 상식밖에 설탕이 많이 들어가는 음식

    ​​​​​​​ 음식을 먹을 때 설탕이 얼마나 들었나 의문을 갖는 습관은 괜찮은 식습관이다. 겉으로만 봐선 어떤 음식에 얼마나 많은 설탕이 들어갔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단맛은 가급적 배나 바나나와 같은 과일에 든 천연 당분을 이용하는 것이 좋겠지만, 현...
    Date2018.02.01 Byflexmun Views481
    Read More
  3. 성인 10명중 5명은 어른이 된 이후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다.

    어렸을 때 음식 알레르기가 없었다면 평생 안심해도 될까. 그렇지 않다. 성인의 절반은 어른이 된 이후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 국제학술지 '알레르기와 임상면역학저널(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음식 알레르기...
    Date2018.01.30 Byflexmun Views50080
    Read More
  4. 추우면 간식이 땡긴다.

    요즘처럼 날씨가 추우면 건강에 신경을 쓰는 일이 많아진다. ‘허프포스트’가 겨울에 일어나는 우리 몸의 변화와 건강 관련 상식을 소개했다.​​​​​​​ 1. 추우면 간식을 자꾸 먹는다 날씨가 춥고 햇볕이 줄어드는 겨울에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이 감소한다....
    Date2018.01.29 Byflexmun Views287
    Read More
  5. 건강보조제 성분 분석자료 미국 국립보건원

    미국 국립보건원이 건강 보조제 성분을 분석해 자료를 내놓았다. 자료집은 ‘운동 보조제(Performance supplements)’와 ‘체중 감량 보조제(Weight loss supplements)’로 두 가지. 자료집 다운로드는 아래링크로... http://ptgym.co.kr/index.php?mid=notice&am...
    Date2018.01.26 Byflexmun Views414
    Read More
  6. 밤에 과식하는 이유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사람에게 해가 진 뒤 몇 시간 동안은 식욕을 참기 가장 힘든 때로 꼽힌다. 이와 관련해 밤에는 과식하기 쉬운 이유가 밝혀졌다.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 대학 연구팀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성인 3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 가...
    Date2018.01.24 Byflexmun Views336
    Read More
  7. 얼마나 먹느냐보다 뭘 먹느냐가 중요다. [SBS 스페셜 칼로리란]

    이번 주 'SBS 스페셜 - 칼로리亂(란)'은 지난주 1부 '열량대첩'에 이어 2부 '요요 PD의 난중일기'를 통해 칼로리의 비밀을 파헤친다. ▶5,000kcal를 먹은 영국의 Sam 우리는 과연 적정 칼로리만 섭취하면 체중을 유지할 수 있을까? 영국의 NGO인 Public Health...
    Date2018.01.23 Byflexmun Views557
    Read More
  8. 편두통을 일으키는 음식

    편두통은 머리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이다. 의학적으로 편두통은 일측성, 박동성 통증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고, 구역이나 구토 및 빛이나 소리 공포증이 나타나는 특징적인 두통을 말한다.편두통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주로 젊은 여...
    Date2018.01.18 Byflexmun Views321
    Read More
  9. 2017년 화제의 과학논문 순위

    지난 한 해 동안 가장 인기 있었던 과학적 연구 성과는 무엇이었을까. ​​​​​​​ 영국 온라인 학술활동 분석기관인 '알트메트릭(Altmetric)'이 지난 2017년 가장 인기 있었던 과학논문 100편을 선정했다. 알트메트릭은 총 220만 개의 과학 연구 성과들에 대한 18...
    Date2018.01.17 Byflexmun Views314
    Read More
  10. 세균에 대한 잘못된 상식

    건강에 대한 과도한 집착으로 건강염려증이나 결벽증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다. 세균에 대한 병적인 공포증이다. 세균은 현미경으로 봐야 보일 정도로 작지만 위협적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만큼 오해도 많다. ◆ 공중화장실 변기는 앉으면 ...
    Date2018.01.15 Byflexmun Views3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