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한 해 동안 가장 인기 있었던 과학적 연구 성과는 무엇이었을까. 
​​​​​​​stock-photo-laboratory-scientist-working-at-lab-with-test-tubes-395017165.jpg

영국 온라인 학술활동 분석기관인 '알트메트릭(Altmetric)'이 지난 2017년 가장 인기 있었던 과학논문 100편을 선정했다. 


알트메트릭은 총 220만 개의 과학 연구 성과들에 대한 1850만 건의 언급 내용들을 분석해 가장 화제가 된 논문들의 순위를 매겼다. 


뉴스에 실리거나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레딧(Reddit) 등에 포스팅된 건수를 기준으로 삼았다. 이는 대중적 관심이 높았던 논문들로, 논문의 우수성과는 무관하다. 그렇다면 지난 한해 어떤 과학 논문들이 뜨거운 반응을 이끌었을까. 

1위= 가장 화제가 됐던 연구결과는 2017년 9월 란셋(The Lancet)에 게재된 지방과 탄수화물이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논문(Associations of fats and carbohydrate intake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in 18 countries from five continents (PURE): a prospective cohort study)이다. 

이 논문은 고지방식과 고탄수화물 중 어떤 것이 건강에 더 해로운지 다뤘다. 연구팀은 고탄수화물보단 고지방 식사가 건강상 덜 해롭다는 연구내용을 발표해 지방을 먹으면 안 된다는 편견을 깨 화제가 됐다. 

2위= 2위를 차지한 논문은 3월 연구정책(Research Policy)저널에 실린 박사과정 학생들의 정신건강 상태를 다룬 논문(Work organization and mental health problems in PhD students)이다. 

이 논문에 의하면 박사과정 학생 두 명 중 한 명은 심리적인 고통을 경험하고 있으며 세 명 중 한 명은 정신질환 위험에 노출돼 있다. 정신건강이 위협을 받을 가능성은 고등교육을 받은 직장인이나 대학생보다 박사과정 학생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일과 조직의 맥락 속에서 박사과정 학생들의 정신건강 상태를 유추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3위= 미국 내과학회지(Jama Internal Medicine)에 12월 게재된 논문(Comparison of Hospital Mortality and Readmission Rates for Medicare Patients Treated by Male vs Female Physicians)이 3위를 차지했다. 

이 논문은 여자의사와 남자의사에게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사망률과 재입원률을 비교했다. 그리고 여의사에게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사망률과 재입원률이 같은 병원에서 근무하는 남자의사의 환자보다 낮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는 여의사들이 진료 가이드라인을 보다 충실하게 따르고 치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4위= 그 다음 순위는 네이처(Nature)저널에 8월 게재된 논문(Correction of a pathogenic gene mutation in human embryos)이다. 

국내 연구진이 미국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한 이 연구는 유전자가위인 크리스퍼가 유전병을 막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연구팀은 돌연변이 유전자를 제거해 비대성 심근증을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았다. 

5위= 사이언스(Science)저널에 지난해 1월 게재된 논문(Gender stereotypes about intellectual ability emerge early and influence children’s interests)이다. 

이 논문은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린 아이들의 흥미와 지적인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내용을 담고 있다. 6~7세의 여아는 이 시기부터 이미 남아에 비해 본인 스스로 머리가 나쁘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지적인 능력을 요하는 과목에 흥미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성별 고정관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6~10위= 이밖에도 날아다니는 곤충의 숫자가 지난 27년간 75% 감소했다는 논문, 1975~2016년 사이 체질량지수와 비만 등의 변화 추이를 다룬 논문, 호박 속에서 발견된 공룡 꼬리에 관한 논문, 에볼라 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백신 효력에 관한 논문, 양의 태아를 인공자궁으로 옮긴 연구 내용 등이 10위 안에 랭크됐다. 


원문보기

http://m.kormedi.com/news/NewsView.aspx?pArtID=1225839&type=HealthNews#backPopup


  1. 불 켜고 자면 살찐다????

    밤에 불을 끄면 무섭다는 이유, TV를 보거나 컴퓨터를 한다는 이유 등으로 밤늦은 시각까지 불을 켜놓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이렇게 밤에도 계속 일정한 수준의 빛 속에 있으면 체중이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연구팀...
    Date2018.02.07 Byflexmun Views310
    Read More
  2. 부탁 할일이 있다면 오른쪽 귀에 대고 말해라

    긴히 부탁할 일이 있으면 상대에게 조용히 다가가 귓속말을 하는 게 보통이다. 그런데 이렇게 귀엣말을 나눌 때도 오른쪽 귀에 대고 말해야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이는 오른쪽 귀가 들은 내용을 뇌가 더 잘 처리하기 때문에 상대방에...
    Date2018.02.05 Byflexmun Views436
    Read More
  3. 상식밖에 설탕이 많이 들어가는 음식

    ​​​​​​​ 음식을 먹을 때 설탕이 얼마나 들었나 의문을 갖는 습관은 괜찮은 식습관이다. 겉으로만 봐선 어떤 음식에 얼마나 많은 설탕이 들어갔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단맛은 가급적 배나 바나나와 같은 과일에 든 천연 당분을 이용하는 것이 좋겠지만, 현...
    Date2018.02.01 Byflexmun Views481
    Read More
  4. 성인 10명중 5명은 어른이 된 이후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다.

    어렸을 때 음식 알레르기가 없었다면 평생 안심해도 될까. 그렇지 않다. 성인의 절반은 어른이 된 이후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 국제학술지 '알레르기와 임상면역학저널(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음식 알레르기...
    Date2018.01.30 Byflexmun Views50080
    Read More
  5. 추우면 간식이 땡긴다.

    요즘처럼 날씨가 추우면 건강에 신경을 쓰는 일이 많아진다. ‘허프포스트’가 겨울에 일어나는 우리 몸의 변화와 건강 관련 상식을 소개했다.​​​​​​​ 1. 추우면 간식을 자꾸 먹는다 날씨가 춥고 햇볕이 줄어드는 겨울에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이 감소한다....
    Date2018.01.29 Byflexmun Views287
    Read More
  6. 건강보조제 성분 분석자료 미국 국립보건원

    미국 국립보건원이 건강 보조제 성분을 분석해 자료를 내놓았다. 자료집은 ‘운동 보조제(Performance supplements)’와 ‘체중 감량 보조제(Weight loss supplements)’로 두 가지. 자료집 다운로드는 아래링크로... http://ptgym.co.kr/index.php?mid=notice&am...
    Date2018.01.26 Byflexmun Views414
    Read More
  7. 밤에 과식하는 이유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사람에게 해가 진 뒤 몇 시간 동안은 식욕을 참기 가장 힘든 때로 꼽힌다. 이와 관련해 밤에는 과식하기 쉬운 이유가 밝혀졌다.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 대학 연구팀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성인 3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 가...
    Date2018.01.24 Byflexmun Views337
    Read More
  8. 얼마나 먹느냐보다 뭘 먹느냐가 중요다. [SBS 스페셜 칼로리란]

    이번 주 'SBS 스페셜 - 칼로리亂(란)'은 지난주 1부 '열량대첩'에 이어 2부 '요요 PD의 난중일기'를 통해 칼로리의 비밀을 파헤친다. ▶5,000kcal를 먹은 영국의 Sam 우리는 과연 적정 칼로리만 섭취하면 체중을 유지할 수 있을까? 영국의 NGO인 Public Health...
    Date2018.01.23 Byflexmun Views557
    Read More
  9. 편두통을 일으키는 음식

    편두통은 머리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이다. 의학적으로 편두통은 일측성, 박동성 통증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고, 구역이나 구토 및 빛이나 소리 공포증이 나타나는 특징적인 두통을 말한다.편두통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주로 젊은 여...
    Date2018.01.18 Byflexmun Views321
    Read More
  10. 2017년 화제의 과학논문 순위

    지난 한 해 동안 가장 인기 있었던 과학적 연구 성과는 무엇이었을까. ​​​​​​​ 영국 온라인 학술활동 분석기관인 '알트메트릭(Altmetric)'이 지난 2017년 가장 인기 있었던 과학논문 100편을 선정했다. 알트메트릭은 총 220만 개의 과학 연구 성과들에 대한 18...
    Date2018.01.17 Byflexmun Views3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