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 음식 알레르기가 없었다면 평생 안심해도 될까. 그렇지 않다. 성인의 절반은 어른이 된 이후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
국제학술지 '알레르기와 임상면역학저널(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음식 알레르기가 있는 성인의 절반은 어른이 된 이후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다.
2017년 12월 발표된 이 논문(Prevalence of food allergies and intolerances documented in electronic health records)에 의하면 어른들도 음식을 먹고 난 뒤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상황으로 전개될 수도 있다.
성인이 된 이후 나타나는 알레르기 반응은 이전에 이미 먹어봤고 그 당시 알레르기 반응이 없었던 음식에 대한 면역 내성을 잃어 나타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처음 먹어본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도 일어난다.
음식 알레르기는 우리 몸이 음식을 침입자로 착각해 파괴하려고 시도하는 면역 체계 반응이다.
성인은 보통 조개류, 과일, 채소, 유제품, 견과류 등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많이 나타난다.
알레르기 반응이 어떤 식으로 나타날지는 예측이 어렵다. 피부, 호흡기관, 소화기관, 심지어 심장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는 알레르기와 싸우는 항체와 히스타민이 우리 몸 어디에서 분비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특정 음식을 먹고 일어난 알레르기 반응이 다음번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나타날 것이란 보장 역시 어렵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반응 유형이 있다. 일단 피부 변화가 감지된다. 붉게 부풀어 오르고 가려움이 느껴지는 두드러기 반응이 일어나는데, 주로 손, 발, 관절이 위치한 부위에 나타난다. 과일이나 채소 알레르기는 입이 가려운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약해진 맥박도 일반적인 음식 알레르기 반응이다. 하지만 식사 후 맥박을 재지는 않으므로 띵하고 토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면 알레르기 징후로 생각해볼 수 있다.
메스꺼움이 느껴지고 배가 아프거나 화장실을 들락날락 해야 하는 상황도 특정 음식으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일 수 있다.
가슴이 조이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음식을 삼키기 어렵고 가슴이 답답하다면 식도로 다량의 백혈구가 이동하는 면역반응이 원인이다. 이로 인한 염증 반응이 목구멍을 좁히고 숨 쉬기 어렵게 만든다. 이런 반응이 일어나면 위급한 상황에 이를 수 있으므로 재빨리 병원으로 이동해야 한다.
원문보기
http://m.kormedi.com/news/NewsView.aspx?pArtID=1226000&type=HealthNews#backPopup
겨울 시즌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고, 만약 갑자기 재채기를 하거나, 너무 많은 콧물이 나고 또는 가려움을 느낀다면 아마도 알레르기 때문일 것이다. 계절성 알레르기는 재채기, 콧물 그리고 가려움으로 매우 귀찮은게 하는 것이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감소시켜주는 천연 성분을 함유한 식품으로 치료할 수 있다.
알레르기는 대부분의 사람에게 아무 문제가 없거나 거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환경에 대한 면역계의 과민 반응으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이다. 사람들은 여러가지 알레르기로 고생을 하며, 이 질환은 음식, 먼지, 애완동물, 곰팡이, 마약 등의 다양한 항원이나 알레르기성 물질의 침범이 원인이 될 수 있다.
1. 식품 알레르기 - 성인의 약 6%와 어린이의 4% 이상이 음식 또는 식품 성분으로 인한 알레르기를 앓고 있다. 음식물 부작용의 증상에는 혀의 부종, 숨가쁨, 반복적인 기침 및 심한 가려움으로 인한 두드러기 등이 있으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식품으로는 땅콩, 조개류, 콩, 달걀, 우유 등이 있다.
2. 먼지 알레르기 - 먼지로 인한 알레르기는 기침, 천명음 및 호흡 곤란과 같은 천식 증상을 유발한다. 이 알레르기 유형을 가진 사람들은 보통 집 안에서 증상이 나타나며 청소 중이나 청소 후 날아다니는 먼지로 증상이 악화 될 수 있으므로 환자가 직접 청소하는 것을 권하지 않는다.
3. 피부 알레르기 - 이 알레르기는 피부 발진, 가려움, 붉어짐 및 기타 피부 문제를 나타낸다. 우리 몸은 때로는 포이즌 아이비, 약물 치료제와 음식과 같은 여러가지 특정 화학물질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습진이나 두드러기와 같은 피부 발진이 나타나게 된다.
4. 반려동물 알레르기 - 반려동물은 재채기, 발진, 콧물, 눈물 및 숨가쁨 등의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다. 전문가들은 동물의 털에 비듬이나 피부 박편이 적어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는 고양이와 개를 선택하는 것을 권한다.
5. 눈 알레르기 - 눈 알레르기는 식물, 풀, 나무 또는 잡초의 꽃가루 같은 옥외 알레르기 항원과 비듬이나 곰팡이 같은 실내 알레르기 항원에 의해 증상이 발생한다. 알레르기가 있는 눈은 눈물 배출로 인한 가려움증이 있고 타는 듯한 느낌을 갖는다.
6. 곰팡이 알레르기 - 곰팡이는 어디서든 발견되며 습기가 있는 욕실과 주방에서도 발견된다. 곰팡이 알레르기 반응은 비충혈, 재채기, 기침 및 목구멍 가려움증과 같은 호흡기 증상의 형태로 나타난다.
7. 부비동 감염 - 부비동염, 부비강염은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콧속 통로와 부비동이 갇혀있는 알레르기 항원을 방출하려고 부풀어 오른다.
8. 약물 알레르기 - 액체, 알약 또는 주사 형태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약물이 있다. 드문 경우로, 약물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은 아나필락시라는 생명을 위협하는 반응을 일으켜 두드러기와 호흡 곤란과 같은 두 개 이상의 기관에 동시에 나쁜 영향을 준다.
9. 라텍스 알레르기 - 특정 사람들이 천연 라텍스에 알레르기가 있다. 천연 라텍스는 헤베아 브라질리엔시스 나무의 수액에서 채취하며 의료 및 치아 용품과 같은 다양한 제품의 구성 성분으로 이용된다. 핸드백, 풍선, 신발을 포함한 소비재 제품과 아기 젖병, 젖꼭지 등의 유아용품 등에 이용된다.
10. 벌레 침 알레르기 - 벌침은 가장 흔한 알레르기 원인 중 하나이지만 개미, 말벌과 같은 다른 곤충도 같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증상에는 통증, 발적, 부기, 가려움, 상체의 홍조 또는 급성 발진, 두드러기와 때때로 아나필락시스 등이 나타난다.
알레르기를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진 식품은 없지만 특정 식품에서 발견되는 영양소는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을 낮추거나 알레르기 반응을 줄인다. 양파, 고추, 딸기 및 파슬리와 같은 케르세틴이 함유된 식품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 반응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오렌지와 키위와 같은 감귤류는 비타민C 나 아스코르빈산이 풍부하여 히스타민의 영향을 줄여주고, 파인애플에 함유된 브로멜라인이라는 효소는 알레르기성 염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참치, 연어 및 고등어에서 발견되는 오메가 -3 지방산은 알레르기성 염증 반응을 줄여주며 매주 2회 정도의 섭취가 많은 도움이 된다. 프로바이오틱스는 계절성 알레르기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케피어, 김치, 절인 양배추와 같은 음식은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하고 있다.
알레르기를 유발하거나 더 악화시킬 수 있는 식품이 있다. 예를 들어, 자작나무 알레르기는 당근, 복숭아, 견과류에 반응하며, 풀 알레르기는 복숭아, 셀러리, 토마토, 멜론 및 오렌지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돼지풀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바나나, 오이, 멜론, 호박을 피하는 것이 좋다.
출처 팸타임스
원문보기
http://famtimes.co.kr/news/view/12798?_adtbrdg=e#_adtRea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