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양정보

조회 수 3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밤에 불을 끄면 무섭다는 이유, TV를 보거나 컴퓨터를 한다는 이유 등으로 밤늦은 시각까지 불을 켜놓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이렇게 밤에도 계속 일정한 수준의 빛 속에 있으면 체중이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stock-photo-adorable-baby-sleeping-in-blue-bassinet-with-canopy-at-night-little-boy-in-pajamas-taking-a-nap-in-475461679.jpg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연구팀은 쥐를 세 그룹으로 나눠 실험을 했다. 어떤 그룹은 24시간 내내 조명 불빛 속에 있었고, 어떤 그룹은 16시간은 150럭스(lux)의 불빛 아래, 8시간은 어둠속에 있게 했다.


또 한 그룹은 16시간은 낮, 8시간은 5럭스의 희미한 불빛 속에 있게 했다. 그리고 각 그룹의 쥐들이 8주 동안 매일 얼마나 많은 음식을 먹는지, 얼마나 많이 움직이는지 등을 살폈다. 체중은 매주 측정했다.

그 결과, 밤에도 계속 희미한 조명 불빛 속에 있던 첫 번째 그룹은 체중이 약 12g 증가했다. 밝고 어두움이 분명히 바뀐 환경에 있던 세 번째 그룹의 쥐는 체중이 약 8g 증가했다. 24시간 조명 불빛을 받은 쥐들의 체중 증가 폭이 약 1.5배로 나타났다.

밤에도 조명 아래 있던 쥐는 다른 쥐보다 더 많이 먹는 것은 아니었지만 먹는 습관에 변화가 왔다. 야행성으로 바뀌어 저녁시간대에 먹을 것을 탐하고 더 많이 먹었다.

희미한 조명 아래서 계속 보내는 그룹은 낮 시간대에 먹는 음식의 55%를 밤에도 먹었다. 그러나 낮과 밤이 분명하게 갈린 쥐들은 밤 시간에 낮에 먹는 양의 36%만 먹었다.

연구팀의 로라 폰켄 교수는 “빛은 잠에 관여하고 신진대사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불균형하게 만든다”며 “또 생체 리듬과 관계있는 유전자 발현을 방해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의 랜디 넬슨 교수는 “보통 컴퓨터를 많이 하고 TV 보는 시간이 길어지면 신체 활동이 부족해 뚱뚱해진다”며 “하지만 비만은 밤에 빛에 얼마나 많이 노출되는지도 일정 부분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Light at night increases body mass by shifting the time of food intake)는 ‘프로시딩스 오브 더 내셔널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시스(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게재됐다.



원문보기

http://m.kormedi.com/news/NewsView.aspx?pArtID=1226094&type=HealthNews#backPopup


  1. 불 켜고 자면 살찐다????

    밤에 불을 끄면 무섭다는 이유, TV를 보거나 컴퓨터를 한다는 이유 등으로 밤늦은 시각까지 불을 켜놓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이렇게 밤에도 계속 일정한 수준의 빛 속에 있으면 체중이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연구팀...
    Date2018.02.07 Byflexmun Views310
    Read More
  2. 부탁 할일이 있다면 오른쪽 귀에 대고 말해라

    긴히 부탁할 일이 있으면 상대에게 조용히 다가가 귓속말을 하는 게 보통이다. 그런데 이렇게 귀엣말을 나눌 때도 오른쪽 귀에 대고 말해야 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이는 오른쪽 귀가 들은 내용을 뇌가 더 잘 처리하기 때문에 상대방에...
    Date2018.02.05 Byflexmun Views436
    Read More
  3. 상식밖에 설탕이 많이 들어가는 음식

    ​​​​​​​ 음식을 먹을 때 설탕이 얼마나 들었나 의문을 갖는 습관은 괜찮은 식습관이다. 겉으로만 봐선 어떤 음식에 얼마나 많은 설탕이 들어갔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단맛은 가급적 배나 바나나와 같은 과일에 든 천연 당분을 이용하는 것이 좋겠지만, 현...
    Date2018.02.01 Byflexmun Views481
    Read More
  4. 성인 10명중 5명은 어른이 된 이후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다.

    어렸을 때 음식 알레르기가 없었다면 평생 안심해도 될까. 그렇지 않다. 성인의 절반은 어른이 된 이후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다. 국제학술지 '알레르기와 임상면역학저널(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음식 알레르기...
    Date2018.01.30 Byflexmun Views50080
    Read More
  5. 추우면 간식이 땡긴다.

    요즘처럼 날씨가 추우면 건강에 신경을 쓰는 일이 많아진다. ‘허프포스트’가 겨울에 일어나는 우리 몸의 변화와 건강 관련 상식을 소개했다.​​​​​​​ 1. 추우면 간식을 자꾸 먹는다 날씨가 춥고 햇볕이 줄어드는 겨울에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이 감소한다....
    Date2018.01.29 Byflexmun Views287
    Read More
  6. 건강보조제 성분 분석자료 미국 국립보건원

    미국 국립보건원이 건강 보조제 성분을 분석해 자료를 내놓았다. 자료집은 ‘운동 보조제(Performance supplements)’와 ‘체중 감량 보조제(Weight loss supplements)’로 두 가지. 자료집 다운로드는 아래링크로... http://ptgym.co.kr/index.php?mid=notice&am...
    Date2018.01.26 Byflexmun Views414
    Read More
  7. 밤에 과식하는 이유

    다이어트를 시도하는 사람에게 해가 진 뒤 몇 시간 동안은 식욕을 참기 가장 힘든 때로 꼽힌다. 이와 관련해 밤에는 과식하기 쉬운 이유가 밝혀졌다.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 대학 연구팀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성인 3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 가...
    Date2018.01.24 Byflexmun Views336
    Read More
  8. 얼마나 먹느냐보다 뭘 먹느냐가 중요다. [SBS 스페셜 칼로리란]

    이번 주 'SBS 스페셜 - 칼로리亂(란)'은 지난주 1부 '열량대첩'에 이어 2부 '요요 PD의 난중일기'를 통해 칼로리의 비밀을 파헤친다. ▶5,000kcal를 먹은 영국의 Sam 우리는 과연 적정 칼로리만 섭취하면 체중을 유지할 수 있을까? 영국의 NGO인 Public Health...
    Date2018.01.23 Byflexmun Views557
    Read More
  9. 편두통을 일으키는 음식

    편두통은 머리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이다. 의학적으로 편두통은 일측성, 박동성 통증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고, 구역이나 구토 및 빛이나 소리 공포증이 나타나는 특징적인 두통을 말한다.편두통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주로 젊은 여...
    Date2018.01.18 Byflexmun Views321
    Read More
  10. 2017년 화제의 과학논문 순위

    지난 한 해 동안 가장 인기 있었던 과학적 연구 성과는 무엇이었을까. ​​​​​​​ 영국 온라인 학술활동 분석기관인 '알트메트릭(Altmetric)'이 지난 2017년 가장 인기 있었던 과학논문 100편을 선정했다. 알트메트릭은 총 220만 개의 과학 연구 성과들에 대한 18...
    Date2018.01.17 Byflexmun Views31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 119 Next
/ 119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