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흥동피티 심부전방선 장요근(장골근 대요근) 탐구
장요근(장골근+대요근)탐구 장요근 때문에 디스크가 터지진 않는다. 전력질주를 거의 하지 않는 현대인들은 장시간 앉아있어 기능이 떨어진 장요근 때문에 척추가 뒤로 넘어가 허리의 만곡이 사라지고 편평해진다. 가만히 서있을 때 허리에 통증이 발생한다면... -
염리동피티 심부전방선 장골근 대요근
심부전방선 – 장골근 골반쪽에서 일을 가장 많이 하는 고관절 굴곡근으로 골반을 걸쳐가기에 아주 강력하다. 서 있을 때 골반의 앞쪽을 잡아 고관절이 갑작스럽게 신전되지 않게 안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장골근의 기능이 떨어지면 대퇴골두가 앞으로 ... -
공덕동피티 심부전방선 장내전근 대내전근
심부전방선 – 장내전근 발의 위치가 중립 보다 조금 더 벌어진 상태일 때 안쪽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대내전근 하부와 주행 방향이 같아 장력을 공유한다. 중간속도 달리기의 뒤꿈치 닿기에서 고관절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달리는 속도가 빠르... -
공덕피티 심부전방선 치골근 단내전근
심부전방선 – 치골근 치골 앞쪽에 붙은 가장 안쪽의 짧은 근육, 내전에 개입한다. 치골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때문에 특히 임산부들한테 무릎 사이에 볼을 끼우는 브리지 훈련을 많이 시킨다. 다리를 꼬거나 고관절이 굴곡 내회전 된 상태에서 모으면 치... -
공덕헬스 심부전방선 – 내전근
심부전방선 – 내전근 네 발 달린 동물은 앞 뒤쪽으로만 발달되고 옆으로 벌어질 일이 없기 때문에 내전근이 발달되지 않았다. 장경인대처럼 특별히 직립보행하는 인간에게 더 발달된 근육이다. 내전과 내회전 고관절 신전에 개입된다. 치골쪽에 붙은 근... -
아현동헬스 표면전방선 – 봉공근 거위발건
표면전방선 – 봉공근 대퇴근막장근과 협력하여 같이 고관절을 굴곡 시키는 기능을 하지만 대퇴골두를 앞으로 잡아당긴다. 고관절이 내회전된 자세에서 굴곡하거나 무릎관절이 회전될 때 과활성화 되는데,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을 할 때 무릎 내측에 수... -
용강동헬스 표면전방선 – 대퇴근막장근
표면전방선 – 대퇴근막장근 전상장골극 가장 앞쪽 바깥에 위치하고 센서의 역할을 한다. 한 쪽 다리로 서고 직립보행 할 수 있는 인간만이 대퇴근막장근이 발달한다. 골반의 위치를 가장 빠르게 감지하여 다리 위치 변화시 고관절의 모든 움직임들을 감... -
도화동헬스 표면전방선 대퇴사두 탐구
대퇴사두 탐구1 슬관절 각도에 따라 대퇴사두의 동원이 달라질 수 있다. 대퇴골과 무릎의 위치가 같은 클래식 스쿼트에선 대퇴직근과 외측광근의 근비대가 목적이지만, 하프스쿼트는 대퇴직근과 내측광근, 풀스쿼트처럼 대퇴골이 무릎보다 더 깊게 앉는 동작에... -
마포헬스 표면전방선 내측광근 외측광근
표면전방선 – 내측광근 대퇴사두 중 가장 두껍고 슬관절 가장 가까이 발달되어 무릎관절 신전에 가장 많이 개입한다. 무릎이 불안정 할 때 가장 먼저 개입해서 무릎관절을 안정시켜주려 한다. 내측광근은 섬유방향이 사선방향과 장축방향 섬유 두 가지... -
대흥동헬스 표면전방선 중간광근 대퇴직근
표면전방선 – 중간광근 대퇴사두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슬개골 가까이에 있어 유일하게 안정성을 담당하고 있는 근육이다. 기능은 안정성을 담당하지만 표면전방선에 속한다. 기마자세처럼 등척성 수축을 할 때 많이 쓰인다. 검도처럼 무릎을 굽힌 채...